맨위로가기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은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에서 개최되었다. 중국이 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예선과 200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상위 팀을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으며,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8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 중 준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의 폭력적인 행동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오스트레일리아 - 2006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앨리사 캠플린의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에어리얼 동메달과 데일 베그-스미스의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모굴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A조와 B조로 나뉘어 중국, 일본, 베트남,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태국, 미얀마 등 각 조에 참가한 국가의 선수들을 포함한다.
  •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은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2005년 6월에 개최되었으며, 1, 2라운드를 거쳐 베트남, 중화 타이베이, 미얀마, 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AFC 여자 아시안컵
연도2006
개최 기간7월 16일 - 7월 30일
개최 도시애들레이드
참가 팀 수9
연맹1
경기장Hindmarsh Stadium
Marden Sports Complex
결과
횟수8
경기 수20
총 득점77
최다 득점자Yūki Nagasato
Jung Jung-suk (7 goals)
대회 통계
이전 대회2003
다음 대회2008

2. 참가 팀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200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4개 팀을 차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우승), 중국(준우승), 일본(4위), 대한민국(3위)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도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예선을 통과한 팀은 다음과 같다.


2. 1. 본선 진출팀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200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4개 팀을 차지한 북한, 중국, 일본, 대한민국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도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예선을 통과한 팀은 다음과 같다:


2. 2. 예선 통과팀

200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4개 팀을 차지한 일본, 중국, 북한, 대한민국이 자동으로 출전 자격을 얻었다.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도 본선에 직행했다. 그 외 예선을 통과한 팀은 중화 타이베이, 미얀마, 태국, 베트남이다.

3. 경기 장소

힌드마시 스타디움


마든 스포츠 컴플렉스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토너먼트는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에서 개최되었다. 힌드마시 스타디움이 주요 경기장으로 사용되어 두 그룹의 마지막 두 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가 진행되었고, 마지막 두 경기는 마든 스포츠 컴플렉스에서 열렸다. 힌드마시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은 16,500명이고, 마든 스포츠 컴플렉스의 수용 인원은 6,000명이다.

4. 조별 리그

조별 리그의 모든 경기는 힌드마시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중화 타이베이베트남태국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마든 스포츠 단지에서 개최되었다.

'''A조'''

승점경기
일본93300171+16
중국6320141+3
베트남3310217-6
중화 타이베이03003114-13



일본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중국은 2승 1패로 2위를 기록, 일본과 함께 준결승에 진출했다. 베트남은 1승 2패로 3위, 중화 타이베이는 3패로 4위를 기록했다.

2006년 7월 19일, 중국중화 타이베이를 2-0으로 꺾었고, 같은 날 일본베트남을 5-0으로 대파했다.

7월 21일, 일본중화 타이베이를 11-1로 크게 이겼고, 베트남중국에 0-2로 패했다.

7월 23일, 중국일본에 0-1로 패했으며,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베트남에 0-1로 패했다.

모든 경기는 애들레이드에서 개최되었다.

'''B조'''

승점경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North Korea영어104310130+13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104310110+11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한국어64202146+8
태국/Thailandth34103226-24
미얀마/Myanmarmy04004210-8



2006년 7월 16일, 미얀마태국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대한민국을 4-0으로 대파했다. 7월 18일, 태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9로 대패했고, 미얀마오스트레일리아에 0-2로 패배했다. 7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미얀마를 3-0으로 꺾었고, 대한민국태국을 11-0으로 크게 이겼다.

7월 22일, 대한민국미얀마에 3-1 승리를 거두었고, 오스트레일리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24일, 태국오스트레일리아에 0-5로 패배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을 1-0으로 이겼다.

조별 리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오스트레일리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4. 1. A조

'''A조'''에서는 일본이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중국은 2승 1패로 2위를 기록, 일본과 함께 준결승에 진출했다. 베트남은 1승 2패로 3위, 중화 타이베이는 3패로 4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일본93300171+16
중국6320141+3
베트남3310217-6
중화 타이베이03003114-13



2006년 7월 19일, 중국중화 타이베이를 2-0으로 꺾었고, 같은 날 일본베트남을 5-0으로 대파했다.

7월 21일, 일본중화 타이베이를 11-1로 크게 이겼고, 베트남중국에 0-2로 패했다.

7월 23일, 중국일본에 0-1로 패했으며,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베트남에 0-1로 패했다.

모든 경기는 애들레이드에서 개최되었다.

4. 2. B조

승점경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North Korea영어104310130+13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104310110+11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한국어64202146+8
태국/Thailandth34103226-24
미얀마/Myanmarmy04004210-8



2006년 7월 16일, 미얀마태국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대한민국을 4-0으로 대파했다. 7월 18일, 태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9로 대패했고, 미얀마오스트레일리아에 0-2로 패배했다. 7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미얀마를 3-0으로 꺾었고, 대한민국태국을 11-0으로 크게 이겼다.

7월 22일, 대한민국미얀마에 3-1 승리를 거두었고, 오스트레일리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24일, 태국오스트레일리아에 0-5로 패배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을 1-0으로 이겼다.

조별 리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오스트레일리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5. 결선 토너먼트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의 준결승전은 7월 27일애들레이드에서 열렸다. 중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일본을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3·4위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을 3-2로 꺾고 3위를 차지하며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일본은 2006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3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중국오스트레일리아가 맞붙었다. 정규 시간과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중국이 4-2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5. 1. 4강전

2006년 7월 27일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일본을 2-0으로 이겼고,[1] 중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1-0으로 이겼다.[1]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의 경기에서는 케이트린 무노즈와 조앤 피터스가 득점하여 오스트레일리아가 2-0 승리를 거두었다.[1]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 중국은 마샤오쉬의 득점으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 이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추가 시간에 동점골을 넣을 뻔했으나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았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은 심판에게 물병 등을 던지며 거칠게 항의했고, 골키퍼 한혜영은 이탈리아 심판 안나 데 토니를 뒤에서 발로 찼다.[1] 이 사건으로 한혜영을 포함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 3명이 3위 결정전을 앞두고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결정에 항의하며 재경기와 출전 정지 징계 철회를 요구했다.[1]

5. 2. 3·4위전

2006년 7월 30일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3·4위전 경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2로 승리했다. 일본은 안도 코즈에(43분), 나가사토 유키(89분)가 득점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리은숙(23분), 리은경(33분, 39분)이 득점하였다. 이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함에 따라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자격을 획득하였다. 일본은 2006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3위 팀과 CONCACAF 지역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5. 3. 결승전

2006년 7월 30일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중국의 결승전 경기는 2 – 2 무승부로 끝났으며, 연장전까지 진행된 끝에 승부차기에서 중국이 4-2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일본의 오이와 마유미가 맡았으며, 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6. 우승



'''중국'''

'''8번째 우승'''

7. 논란

준결승전의 중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기에서는 경기 종료 직전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 수 명이 폭행을 가해 주심을 밀치고 골키퍼는 퇴장 처분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기 종료 후 경비원의 보호를 받으며 경기장을 떠나는 심판진에게 발길질을 하려 했다. 또 다른 선수는 페트병을 던졌고, 그 일부는 중국 팀 서포터석에도 날아가 관람석까지 휘말리는 매우 큰 소동으로 번졌다. 여자 축구에서 이 정도의 폭력적인 반응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남자 대표팀에서도 전년에 비슷한 소동을 일으킨 적이 있어 큰 뉴스가 되었다. 그 후 조사에 따라 3위 결정전에는 골키퍼 1명과 수비수 2명이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이후 골키퍼는 1년간 국제 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8. 수상

대회 최우수 선수대회 득점왕페어 플레이상
마샤오쉬 나가사토 유키 (7득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